물가와 관련된 현상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금융용어가 있습니다. 그중 경제 안정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는 디스인플레이션과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의미의 디플레이션인데요. 이 포스팅에서는 디스인플레이션에 대해 정리해 보고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과의 차이점도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에 의하여 통화가 팽창하여 물가가 상승할 때, 그 시점에 있어서의 통화량 ·물가수준을 유지한 채 안정을 도모하여 서서히 인플레이션을 수습하려는 경제정책을 말한다. 디플레이션도 인플레이션 수습대책으로 채택되는 경우가 있지만, 디스인플레이션의 경우는 상승한 물가를 원래의 수준으로 인하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목표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디스인플레이션 [disinflation]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디스인플레이션의 정의
디스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속도가 줄어드는 현상입니다. 즉, 물건의 가격이 여전히 오르지만, 그 오르는 비율이 이전보다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비해 올해 물가가 2% 올랐다면, 내년에는 1%만 오르는 상황을 말합니다.
> 디스인플레이션의 예시
작년에 사과 가격이 1,000원이었고 올해는 1,020원이 됐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내년에는 사과 가격이 1,030원이 아니라 1,025원이 된다면, 물가는 여전히 오르고 있지만 그 속도가 느려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디스인플레이션의 원인
- 수요 감소 : 사람들이 물건을 덜 사게 되면, 가격 상승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가 안 좋으면 소비자들은 지출을 줄이게 되고, 가게는 가격을 더 이상 많이 올릴 수 없게 됩니다.
- 공급 증가 : 생산량이 많아지면 가격 상승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가 많이 생산되면 시장에 사과가 넘쳐나고, 가게들은 가격을 높이지 못하게 됩니다.
- 정부의 정책 : 정부나 중앙은행이 금리를 조정하거나 통화 정책을 변경하여 경제를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금리를 낮추면 사람들이 더 많이 소비하게 되고, 물가 상승률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 디스인플레이션의 영향
- 소비자 : 물가가 오르기는 하지만 그 속도가 느려지면, 소비자들은 생활비 부담이 줄어들어 더 많은 물건을 살 수 있게 됩니다.
- 생산자 : 가격 상승률이 안정적이면 기업들은 예측 가능하게 사업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이는 투자도 더 활발하게 할 수 있게 합니다.
- 경제 안정성 : 물가 상승이 너무 급격하지 않으면 경제가 더 안정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더 안정적으로 소비하고 일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디스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의 차이
- 인플레이션 :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작년에 사과 가격이 1,000원에서 올해 1,100원이 되는 경우입니다.
- 디스인플레이션 : 물가가 오르는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물가가 작년 2% 올랐다가 올해 1%만 오르는 것입니다.
▶ 디플레이션 정의
-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즉, 물건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예시
작년에 사과 가격이 1,000원이었는데, 올해는 800원이 된다면, 이게 바로 디플레이션입니다. 가격이 20% 떨어진 것입니다.
▶ 발생 원인
- 수요 감소 : 경제가 안 좋거나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면 가격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공급 과잉 : 생산량이 너무 많아지면 가격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 경제 불황 : 전반적인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사람들이 돈을 덜 쓰게 되고, 이로 인해 가격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영향
- 소비자 : 가격이 떨어지면 소비자들은 물건을 더 싸게 살 수 있지만, 미래에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생각으로 구매를 미룰 수 있습니다.
- 기업 : 가격이 계속 떨어지면 기업의 수익이 줄어들고,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경제 : 디플레이션이 지속되면 경제가 불황에 빠질 수 있으며, 실업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디스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차이
- 디스인플레이션 : 물가가 오르긴 하지만 그 오르는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으로, 소비자와 기업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습니다.
- 디플레이션 : 물가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소비자에게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기업과 경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디스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물가와 관련된 서로 다른 현상으로, 각각의 원인과 결과가 다르기 때문에 잘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디스인플레이션은 경제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반면,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 두 개념을 잘 이해하면 경제 뉴스나 상황을 더 잘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생활금융 정보 더 보기...
[생활금융] 경제 왕초보 금융용어 이해하기 인플레이션 원인 영향 정부정책
인플레이션은 물건의 가격이 점점 오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뜻하는데요. 이 글에서는 인플레이션의 정의, 원인, 영향, 그리고 이를 관리하
happy.jjoyangstory.com
[생활금융] 경제 왕초보 금융용어 이해하기 금융통화위원회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을 결정하고 운영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금통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이 포스팅에서 금통위의 주요 역할과 기능
happy.jjoyangstory.com
[생활금융] 경제 왕초보 금융•경제 용어 이해하기 B2B B2C D2C
B2B와 B2C, D2C는 각각 기업 간, 기업과 소비자 간, 그리고 기업이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이들은 거래의 주체와 방식, 마케팅 전략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happy.jjoyang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