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3 [생활금융] 경제 왕초보 금융•경제용어 이해하기 FOB CFR CIF 거래처에 보낼 수출품이 확보되고 선적일이 다가오면 통관 및 운송을 준비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운송조건 (Incoterms)에는 CIF, CFR, FOB 등이 있는데요. 이 포스팅에서 무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운송조건인 CIF와 CFR, FOB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FOB (Free On Board) FOB 조건에서는 매도인이 상품을 선적 항구에서 배에 실을 때까지의 모든 비용과 위험을 부담합니다. 상품이 배에 실린 순간부터는 매수인이 모든 비용과 위험을 책임집니다.▶ 책임의 경계● 매도인상품을 포장하고, 운송 수단으로 운송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선적 항구에서 상품을 배에 실을 때까지의 비용(운송비, 세금 등)을 부담합니다.상품이 배에 실리는 시점까지의 위험(손상, 파손 등)을 책.. 2024. 12. 19. [생황금융] 경제 왕초보 금융•경제용어 이해하기 오퍼(Offer) 종류 제출방법 무역 거래에서 다양한 문서가 작성됩니다. 문서의 종류와 필수적으로 기재되어야 하는 내용들도 많이 있는데요. 이 포스팅에서는 무역거래 문서중 오퍼(Offer)란 무엇인지, 문서서에 기재되어야 하는 내용과 종류 제출방법을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수출자가 수입자에게 일정조건을 제시하며 판매의사를 표현하는 문서입니다. 오퍼 기재사항● 오퍼 제목(Offer Title) : 오퍼의 목적이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합니다. 예: "제품 공급 오퍼".● 발행일(Issue Date) : 오퍼가 작성된 날짜를 기재합니다.● 오퍼 번호(Offer Number) : 각 오퍼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추적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합니다.● 판매자 정보(Seller Information) : 회사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등 판.. 2024. 12. 17. 탄핵가결이후 증시전망 기사들 모음 지난 토요일 탄핵표결이 가결되었습니다. 파면 선고까지 헌법재판소에서 파면이라는 판결이 나오기까지 큰 산이 남아 있지만 불안요소가 조금은 감소되어 금융시장도 조금씩 나아질꺼 같다라는 전망을 하는 기사들이 있어서 몇가지만 짧게 공유해보려 합니다. 2024. 12. 16. 12월 14일 4시 탄핵안 표결 예정 : 만일 탄핵 무산이 되었을 때 한국 경제 불확실성 증가 지난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무산으로 한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만일 12월 14일 2차 탄핵안이 부결된다면 한국 경제가 어떻게 변화될지 걱정되는 마음으로 짧게 글을 남겨봅니다. 만일 14일 4시에 예정된 2차 탄핵안이 부결되어 통치력 상실이 지속될 경우, 한국의 대외 신인도는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할 우려가 커지고 미국 경제 매체 포브스는 윤석열 정부의 계엄 사태가 한국 국민에게 큰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는 비판을 내놓았습니다. 11일 금융계에 따르면, 윤석열 퇴진을 둘러싼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국내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5.3원 오른 1,432.2원을 기록하며 1,400원대가 고착화되고 있습니.. 2024. 12. 13. 개인투자자들이 막고 있는 계엄령의 대가 최근 한국 경제는 여러 가지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계엄령 선포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이 상황을 막고 있고 대기업의 시가총액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사태와 그로 인한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계엄령과 한국 경제의 연결고리 계엄령이 선포되기 전인 지난 12월 3일, 한국의 주요 대기업들이 집합된 시가총액은 약 1,186조 6,823억 원이었으나, 계엄령이 발효된 후 일주일이 지난 12월 10일에는 1,173조 1,097억 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무려 14조 원의 감소를 의미합니다. 이처럼 국가의 위기 상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개인투자자들의 반응 일반적으로 국가의 비상사태나 계엄령은 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개.. 2024. 12. 12. 대한민국 경제를 망쳐놓은 대한민국 12.3 비상계엄 & 계엄령 역사 대한민국의 현대사에 아직도 기억되고 상처를 남긴 사건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중 비상계엄은 43년전이후로 선포된 적이 없었는데요. 최근 12.3 계엄이 현재 대한민국 경제를 더욱 더 망쳐놓고 있다고 생각이 들기 때문에 이 포스팅에서는 우선 그동안 현대사에 있었던 계엄령을 간단히 정리해 보려 합니다. 계엄령의 정의 및 종류계엄은 대통령이 전시, 사변 등의 국가 위기 상황에서 군사력을 동원해 공공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비상조치입니다. 대한민국 헌법 제77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나뉩니다.비상계엄: 적과 교전 상태이거나 사회질서가 극도로 교란된 경우에 발령.경비계엄: 일반 행정기관만으로는 치안을 확보할 수 없을 때 발령. 대한민국 계엄령 역사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에서.. 2024. 12. 11. 이전 1 2 3 4 5 ··· 19 다음 반응형